맨위로가기

기씨 (황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씨(紀氏)는 고겐 천황의 후손이자 다케우치노 스쿠네의 아들인 기노 쓰노노 스쿠네를 시조로 하는 일본의 씨족이다. 야마토 왕권의 군사권을 담당하며, 유랴쿠 천황, 겐조 천황, 긴메이 천황 대에 한반도에서의 군사 및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덴지 천황 대에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나라 시대에 번영했으나, 헤이안 시대 초기 후지와라 씨에 밀려 쇠퇴했다. 이후 문인과 가인을 배출했으나 정치·군사적 활약은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즈미국 - 고니시씨
    고니시 씨는 후지와라 북가 히데사토 류의 와즈미 고니시 씨와 미나모토 나리요리 류의 오미 고니시 씨로 나뉘며, 특히 고니시 유키나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센고쿠 다이묘였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로 가문이 몰락했다.
  • 기씨 (황별) - 기노 쓰라유키
    기노 쓰라유키는 866년 또는 872년에 태어난 일본의 시인으로, 《고킨와카슈》의 편집자이자 가나 서문을 작성했으며, 36가선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도사 일기》를 저술했다.
  • 기씨 (황별) - 히로하시 주시
    히로하시 주시는 일본 남북조 시대 고코곤 천황의 텐지로서, 고엔유 천황을 비롯한 여러 왕자를 낳고 왕실 내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스겐몬인이라는 원호를 받은 인물이다.
  • 황별 씨 - 헤이시
    헤이시(다이라 씨)는 헤이안 시대 천황으로부터 성을 하사받은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와 함께 무가 사회의 중요한 축을 이루었으나, 이세 헤이시의 다이라노 기요모리가 수립한 헤이시 정권은 겐페이 전쟁에서 몰락했고, 그 후손들은 일본 각지에 흩어져 오늘날까지 전해지며 《헤이케 이야기》와 같은 군담 소설의 소재가 되었다.
  • 황별 씨 - 소가씨
    소가 씨는 고대 일본의 유력 씨족으로, 황실과의 혼인을 통해 외척 세력을 형성하고 불교를 수용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을사의 변으로 몰락했다.
기씨 (황별)
기본 정보
씨족명기 씨
한자 표기紀氏
가나 표기きうじ (키우지)
씨성기 신 (紀臣)
변경 내역후에 기 조신 (紀朝臣)
시조기노 쓰노
출자황별
본관야마토국헤구리군 기 리 (大和国平群郡紀里)
이즈미국히네군 (和泉国日根郡)
야마시로국기이군 (山城国紀伊郡) 등
주요 인물
주요 인물기노 오유미
기노 오오이와
기노 고사미
기노 하세오
기노 쓰라유키
후손
후손쓰노 국조 (都濃郡|都怒国造)
사카모토 아손 (坂本氏|坂本朝臣)
이케다 씨 (武家)
마시코 씨 (武家)
홋타 씨 (社家)
다나카 가 (社家)
젠포지 가 (善法寺家)
자이젠 씨 (武家) 등

2. 역사

(記紀) 등의 전승에 따르면 결사팔대의 한 명인 고겐 천황의 자손으로 다케우치노 스쿠네의 아들인 기노 쓰노노 스쿠네(紀角宿禰)를 시조로 하는데, 이들 2대는 모두 모계가 기이노 구니노미야쓰코(紀伊国造) 출신이었다.[1] 기 씨는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일찍부터 야마토 왕권의 군사권을 맡은 가문으로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유랴쿠 천황, 겐조 천황, 긴메이 천황 시대에는 기 씨 가문 사람들이 한반도에서 백제, 신라, 가야와 관련된 군사 및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그러나 다이카 개신 이전에는 오오미(大臣)를 배출하지 못했다.

덴지 천황 때 오히토(大人)가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나라 시대까지 이어졌다. 마로(麻呂)가 다이나곤(大納言), 마로(麻路)가 주나곤(中納言), 고마로(飯麻呂)가 산기(参議)로 임명되기도 했다. 모로히토(諸人)의 딸 도치히메(橡姫)가 시키 황자(志貴皇子)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고닌 천황이 즉위하면서 외척으로서 번영을 누렸다. 간무 천황 때까지 히로즈미(広純)와 이에모리(家守)가 산기, 후나모리(船守)와 고사미(古佐美)가 다이나곤에 올랐다. 이들은 지금의 일본 동북부 지역에 해당하는 오우(奥羽) 지방에서 벌어지던 에미시들의 봉기를 진정시키기 위한 장군으로 파견되는 등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활약했는데, 헤이안 시대 초기에는 후지와라 북가(藤原北家)의 다카모리에게 압도되었다.

히로하마(広浜) ・ 모모쓰구(百継) 이후 기 씨로서 구교(公卿)에 오르는 자는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되었고, 나토라(名虎)가 딸을 입궐시키기도 했지만 기울어가던 집안을 다시 일으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오텐몬의 변으로 나쓰이(夏井)가 유배되면서 일족은 쇠퇴하였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와 함께 우다 천황에게 중용되었던 하세오 이후 기 씨는 정치 ・ 군사 어느 측면에서도 활약할 기회를 잃었고, 요시모치(淑望) ・ 아리마사(在昌)나 쓰라유키 ・ 도모노리(友則) ・ 도키부미(時文) 등 문인(文人) ・ 가인(歌人)을 배출하는 정도에 그쳤다.

기 씨의 피를 이은 먼 후손으로는 다나가 류(田長流)의 이와시미즈 하치만궁(石清水八幡宮)의 벳토(別当)를 세습했던 가문인 다나카(田中) ・ 젠호지(善法寺) 가문 외에, 시모쓰케(下野)로 낙향한 기요누시(清主) 이후 시모쓰케 기토(下野紀党, 마스코 씨益子氏), 기노 하세오의 후손을 칭한 이케다 씨(池田氏) ・ 노부타 씨(信太氏) ・ 호소미 씨(細見氏) ・ 오이 씨(大井氏) ・ 나카무라 씨(中村氏) ・ 시나가와 씨(品川氏) ・ 가스카베 씨(春日部氏) ・ 호리타 씨(堀田氏, 근세 다이묘 가문인 호리타 씨에 연결시킨 것은 가칭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우라가미 씨(浦上氏) ・ 야스토미 씨(安富氏) ・ 다카야스 씨(高安氏) 등이 거론된다.

기이노 구니노미야쓰코 가문은 덴겐(天元) 연간에 남자 후손이 단절되는 바람에 기노 하세오의 증손인 유키요시(行義)가 입적되어 집안을 이은 이래로 아손(朝臣)의 카바네를 칭하게 되었다.[1]

2. 1. 기원과 초기 발전

기 씨(紀氏)는 고겐 천황의 후손으로, 다케우치노 스쿠네의 아들인 기노 쓰노노 스쿠네(紀角宿禰)를 시조로 한다.[1] 기 씨의 모계는 대대로 기이노 구니노미야쓰코(紀伊国造) 출신이었다.[1] 이러한 배경으로 기 씨는 야마토 왕권에서 군사권을 담당하는 가문으로 성장했다.

유랴쿠 천황, 겐조 천황, 긴메이 천황 시대에는 기 씨 가문 사람들이 한반도에서 백제, 신라, 가야와 관련된 군사 및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그러나 다이카 개신 이전에는 오오미(大臣)를 배출하지 못했다.

2. 2. 중앙 정계 진출과 쇠퇴

덴지 천황 대에 기노 오히토(大人)가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면서 중앙 정계에 진출했다.[1] 나라 시대에는 기노 마로(麻呂)가 다이나곤(大納言), 기노 마로(麻路)가 주나곤(中納言), 기노 고마로(飯麻呂)가 산기(参議)에 임명되었다. 기노 모로히토(諸人)의 딸 기노 도치히메(橡姫)가 고닌 천황의 생모가 되면서 외척으로서 번영했다. 간무 천황 대까지 기노 히로즈미(広純)와 기노 이에모리(家守)가 산기, 기노 후나모리(船守)와 기노 고사미(古佐美)가 다이나곤에 올랐다. 이들은 에미시(蝦夷) 정벌 등 군사적 활약도 두드러졌으나, 헤이안 시대 초기에 후지와라 북가(藤原北家)에 밀려 세력이 약화되었다. 오텐몬의 변(応天門の変)으로 기노 나쓰이(夏井)가 유배되면서 쇠퇴했다.

2. 3. 쇠퇴 이후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와 함께 우다 천황에게 중용되었던 하세오 이후 기 씨는 정치·군사적으로 활약할 기회를 잃었다.[1] 요시모치(淑望), 아리마사(在昌), 쓰라유키, 도모노리(友則), 도키부미(時文) 등 문인, 가인을 배출하는 데 그쳤다.[1]

2. 4. 분가 및 후손

다나가 류(田長流)의 이와시미즈 하치만궁(石清水八幡宮) 벳토(別当)를 세습한 다나카(田中) ・ 젠호지(善法寺) 가문이 있다.[1] 시모쓰케(下野)로 낙향한 기요누시(清主) 이후 시모쓰케 기토(下野紀党, 마스코 씨益子氏)가 나왔다.[1] 기노 하세오의 후손을 칭한 이케다 씨(池田氏) ・ 노부타 씨(信太氏) ・ 호소미 씨(細見氏) ・ 오이 씨(大井氏) ・ 나카무라 씨(中村氏) ・ 시나가와 씨(品川氏) ・ 가스카베 씨(春日部氏) ・ 호리타 씨(堀田氏, 근세 다이묘 가문인 호리타 씨에 연결시킨 것은 가칭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우라가미 씨(浦上氏) ・ 야스토미 씨(安富氏) ・ 다카야스 씨(高安氏) 등이 거론된다.[1]

기이노 구니노미야쓰코 가문은 덴겐(天元) 연간에 남자 후손이 단절되어 기노 하세오의 증손 유키요시(行義)가 입적되어 집안을 이은 이래로 아손(朝臣)의 카바네를 칭하게 되었다.[1]

3. 계도

존비분맥, 군서유종 등에 수록된 "기씨 계도"는 세대가 뒤섞여 있어 그대로 신뢰하기 어렵다. 육국사, 공경보임, 기씨가첩 등에 의해 수정된 계도를 싣지만, 초기 부분이나 마로, 원취, 전장, 장곡웅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이 있음을 덧붙여 둔다. (상세한 계보는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의 계보 참조)

4. 한국과의 관계

(記紀) 등의 전승에 따르면 기 씨는 고겐 천황의 자손으로 다케우치노 스쿠네의 아들인 기노 쓰노노 스쿠네(紀角宿禰)를 시조로 한다.[1] 기 씨는 야마토 왕권의 군사권을 맡은 가문이었으며, 유랴쿠 천황 때의 고유미(小弓), 겐조 천황 때의 오이와(大磐), 긴메이 천황 때의 오토마로(男麻呂) 등은 백제, 신라, 가야와의 군사・외교 부문에서 활약하였다고 전해진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